색연필을 사용한 현대 미술가(2) - 존 오코너(John O'Connor)
유명한 미술 작품 중에 색연필을 사용한 작품이 떠오르는 게 있으실까요? 아마 많이 없으실 거예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유화나 아크릴 물감처럼 붓으로 넓은 면적을 채색하기 어렵고, 필압을 이용하여 강약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평면 종이에 입체감을 만들려면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죠. (물론, 제 개인 생각입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df7pQC/btr2RiJ4nUS/gZH8nPTy29QNV3KxFRGPnK/img.jpg)
종이에 색연필 색칠 했을 때, 색칠한 면에서 희끗희끗하게 종이 색이 비춰 보이는 경우가 많으실 거예요. 색연필이라는 재료의 특성상 손의 압력으로 꾹 눌러 덧칠해야 희끗한 부분 없이 채색할 수 있습니다. 색연필 심은 대부분 왁스 베이스로 왁스(wax)가 섞여있는데, 때문에 종이 위에 부드럽게 부서지면서 색깔을 칠할 수 있게 됩니다. 프리즈마 색연필이 대표적인 왁스 베이스 색연필 입니다. 대부분의 크레용도 왁스 베이스라고 생각하시면, 어떤 질감인지 쉽게 상상되실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o1E6I/btr2NjJ7yCX/Te1oq8dd9YLl2NCnXq1e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OV0x/btr3HrgolvX/b9LcuTsm4LrcsrrkBoCH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nsqH/btr3Q96ugUO/8vVkx50AL5oOb7PBpDQC3k/img.jpg)
하지만, 이 특유의 질감 때문에 색연필을 사용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고, 붓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얇은 선의 표현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그러한 색연필의 특징을 잘 활용한 작품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존 오코너(John O'Connor)작가는 색연필을 사용해서 100cm 이상의 큰 그림을 그리는 작가로 잘 알려져 있죠. 손으로 직접 그린 작고 세밀한 표현들이 집적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https://blog.kakaocdn.net/dn/by79te/btr2ws8zEvM/RhrT8dKfFmnkMqtOnZpHz1/img.jpg)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색연필로 작은 부분까지 세밀하게 음영을 넣어 완성한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흰 종이의 바탕을 온전히 채우지 않고 남겨두어 대비를 통해 형태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w3OZ5/btr2FiDyQOP/ON5vqRcuMVa1cN5ehl3S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O8ZT/btr2xR791CO/d0a2n2DIuVWeNKi2KZs8Q1/img.jpg)
이미지를 자세히 보면 색연필로 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이 집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색연필로 압력으로 진하게 그린 도형들과 얇은 선의 대비 등을 통해, 다양한 표면과 질감으로 확장되는 이미지를 만들었네요. 색연필의 얇은 선과 압력이 느껴지는 꽉 눌러 그린 부분이 같이 혼재되어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zbgoi/btr2D8QpCMc/7niLB29TJvxQSmJg5FyB00/img.webp)
작가는 사회 문화적 현상과 통계, 데이터를 시각적 기호들로 이미지화하여 작품에 반영한다고 합니다. 작가의 더 많은 작품은 작가 홈페이지와 Pierogi Gallery에 있습니다.
색연필 채색에 관심 많은 분들께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참고 링크
https://www.johnjoconnor.net/
John J. O'Connor
www.johnjoconnor.net
https://www.pierogi2000.com/artists/john-oconnor
John O’Connor
<< artists Bio >> Selected Work
www.pierogi20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