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없는 이미지를 찾고 계신가요?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예술 작품 이미지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 많은 예술 작품들을 보유하고 있는 전세계 미술관과 박물관 등은 작품 이미지의 이용가치를 인식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 기간은 저작자 사후 100년 내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멸됩니다.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된 예술품의 이미지들은 공공 자산으로 여겨, 소장처(미술관/박물관 등)의 웹사이트를 통해 자유롭게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없는 이미지 표기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으로 표기되어 있거나, 오픈 엑세스(Open Access), CC0 (Creative Commons 0)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면 이 저작물은 공공 이용 - 누구나 특별한 허가 없이 복제, 변형, 수익화- 이 가능한 자료를 의미합니다. 저작권 보호 기간이 만료되었다고 하더라도, 저작물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니, '공공 이용 자료' 표기가 없을 경우 저작물 사용에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사례 1.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수천년에 걸친 광범위한 컬렉션을 보유한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소장품의 이미지 상당 부분을 무료로 다운로드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웹으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고, 유명 예술가들의 작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양한 자료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품 검색 링크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You can freely copy, modify, and distribute this image, and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이 이미지를 자유롭게 복제, 변형, 배포 할 수 있으며,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장 작품 이미지 아래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이미지 사용의 범위를 친절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사례 2. 암스테르담 국립 미술관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의 경우는 더 적극적으로 소장품 이미지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예시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소장 이미지 다운로드뿐만 아니라, 직접 사용자가 이미지를 잘라서(Crop) 핸드폰 케이스를 만든 사례를 이미지로 보여주기도 하는데요.
암스테르담 국립 미술관 소장품 검색 링크 (Rijksmuseum Amsterdam)
암스테르담 미술관은 고해상도 이미지를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문객이 이러한 작품에 창의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미지 자르기 및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개인화된 예술 작품을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Make it Your Own."
"너만의 것을 만들어라."
너만의 예술 작품을 만들라는 구호와 함께, 명화 이미지로 만든, 핸드폰 케이스, 이미지를 잘라서 만든 포스터를 이용한 인테리어 사례까지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례 3. 국립 중앙 박물관
당연히 한국 박물관에서도 자유 이용이 가능한 소장품의 이미지를 별도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도 방문객들이 방대한 소장품의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는데요. 박물관의 소장품들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 표기 조건에 따라, 출처 표기와 함께 활용하도록 제시되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검색 링크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list)
디지털 시대의 예술 재구상
한때 신성화 된 예술품 이미지를 자르거나 변형하는 것에 분명 반감이 있었습니다. 최근 창작의 범위에 대한 경계가 재해석되면서, 명작을 재해석하고 변형하여 작품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새로운 관점을 창조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개인이 더 이상 예술 작품을 단순히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창의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시대를 맞이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술 발전을 통해 개인이 예술적 콘텐츠를 조작, 적용 및 공유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시대의 특징이라고도 볼 수 있을까요? 전 세계의 미술관, 박물관들도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예술과의 관계를 재정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를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 없는 이미지 사용에 대한 다른 게시물도 아래에 표기해두었습니다.
저작권 없는 이미지 사용과 관련된 게시물
1) https://page-oh.tistory.com/71
2) https://page-oh.tistory.com/79
'글과 이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의 이미지는? - 네온사인 보관자 인터뷰 (0) | 2024.05.23 |
---|---|
미술가의 인스타그램 전략 - 미카 렉시어(Micah Lexier) (0) | 2024.05.13 |
일본적 이미지는? - 일본 웹 사이트의 특징 (0) | 2024.04.01 |
한국적 이미지는? - 책 '파친코(Pachinko)' 표지 비교 (0) | 2023.12.05 |
한국적 이미지는? - 책 '안주와 반주', '도시, 서울' (0) | 2023.11.23 |